portainer 처음 사용하게 된 계기는 ec2를 통해 관리할 때 명령어가 아닌 gui를 통해 쉽게 관리 할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? 찾아보면서 알게된 것입니다. 장점은 크게 3가지 1. 쉽게 설치할 수 있다. 2. 관리할 때 초보자도 쉽게 관리 할 수 있다. 3. 네트워크 관리에 있어서 너무 쉽게 만들어준다. 제가 느낀 가장 큰 장점 3가지 였습니다. 일단 설치방법!! 1. 도커 설치하기 (도커가 설치되어있다면 넘어가주세요~!) 2. portainer설치하기 도커에서 아래와 같이 입력해주세요 sudo docker run -d -p 9000:9000 \ --name=portainer \ --restart=unless-stopped \ -v /var/run/docker.sock:/var/run/docker..
CI&CD/참고
mobaXterm 리눅스에서 Telnet, SSH접속을 위해서 putty를 깔거나, 가상 도커에 설계를 하는 일들, pem키를 통해 들어가는 방법들 모두 한두개일 때는 관리가 되지만 여러개가 되면 관리하기 어려워집니다. 따라서 SSH접속 툴 중 하나인 mobaXterm을 추천합니다. 우선 기본적인 ui에서 옆에 session이 있는데 해당 session에 등록만 하면 쉽게 들어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 처음 aws를 pem키를 통해 들어갈 때 매번 pem키의 위치를 확인하고 들어가는 과정은 생각보다 시간과 신경을 써야되고, 2개 이상되면 이름을 확인하고 들어가야 했었습니다. 하지만 mobaXterm을 이용하면 옆의 session에서 더블클릭을 통해 들어 갈수 있는 것은 너무 편하고, 관리에 유용했습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