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 x 1 크기의 칸들로 이루어진 직사각형 격자 형태의 미로에서 탈출하려고 합니다. 각 칸은 통로 또는 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, 벽으로 된 칸은 지나갈 수 없고 통로로 된 칸으로만 이동할 수 있습니다. 통로들 중 한 칸에는 미로를 빠져나가는 문이 있는데, 이 문은 레버를 당겨서만 열 수 있습니다. 레버 또한 통로들 중 한 칸에 있습니다. 따라서, 출발 지점에서 먼저 레버가 있는 칸으로 이동하여 레버를 당긴 후 미로를 빠져나가는 문이 있는 칸으로 이동하면 됩니다. 이때 아직 레버를 당기지 않았더라도 출구가 있는 칸을 지나갈 수 있습니다. 미로에서 한 칸을 이동하는데 1초가 걸린다고 할 때, 최대한 빠르게 미로를 빠져나가는데 걸리는 시간을 구하려 합니다.
미로를 나타낸 문자열 배열 map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미로를 탈출하는데 필요한 최소 시간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 만약, 탈출할 수 없다면 -1을 return 해주세요.
S에서 출발해서 레버로 도착하고
레버에서 E까지 가야되는 문제였습니다.
탈출 할 수 없으면 -1을 반환해야합니다.
DFS로 풀게되면 모든 루트를 구해서 최소값을 가져와야 합니다.
따라서 BFS를 통해 미로의 최솟값을 구하는 문제였습니다.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def solution(maps):
# s -> l -> e
n = len(maps[0]) # 가로
m = len(maps) # 세로
StoL = [[-1]*n for _ in range(m)]
LtoE = [[-1]*n for _ in range(m)]
E = None
for row in range(m):
for col in range(n):
if maps[row][col] == "S":
S = (row, col)
StoL[row][col] = 0
break
SLq = deque([S])
LEq = deque()
def SLbfs():
while(SLq):
row, col = SLq.popleft()
for dr, dc in [(-1, 0), (0, 1), (1, 0), (0, -1)]:
nr = dr + row
nc = dc + col
if nr >= m or nr < 0 or nc >= n or nc < 0:
continue
if maps[nr][nc] == "L":
LEq.append((nr, nc))
LtoE[nr][nc] = 0
return StoL[row][col] + 1
if maps[nr][nc] != "X" and StoL[nr][nc] == -1:
SLq.append((nr, nc))
StoL[nr][nc] = StoL[row][col] + 1
return -1
def LEbfs():
while(LEq):
row, col = LEq.popleft()
for dr, dc in [(-1, 0), (0, 1), (1, 0), (0, -1)]:
nr = dr + row
nc = dc + col
if nr >= m or nr < 0 or nc >= n or nc < 0:
continue
if maps[nr][nc] == "E":
return LtoE[row][col] + 1
if maps[nr][nc] != "X" and LtoE[nr][nc] == -1:
LEq.append((nr, nc))
LtoE[nr][nc] = LtoE[row][col] + 1
return -1
sl = SLbfs()
if sl == -1:
return -1
le = LEbfs()
if le == -1:
return -1
return sl + le
'알고리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준 1105 팔 (파이썬 풀이) (2) | 2024.01.23 |
---|---|
1563 개근상 파이썬으로 풀기 (0) | 2023.12.29 |
백준(2839) 설탕 배달 .java, python (0) | 2023.10.25 |
케빈 베이컨의 6단계 법칙 알고리즘 풀이 자바 (1) | 2023.10.10 |